구현 내용
1. 앱 이름 설정
https://kkln2486.tistory.com/401
Project Settings의 Product Name과 앱 이름을 다르게 설정해야되기 때문에 따로 앱 이름을 설정했다. 예전 한글 앱 이름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었지만 영문 앱 이름을 설정도 가능했다.
2. 빌드 및 구글 플레이 업로드
https://kkln2486.tistory.com/402
트러블 슈팅
1. Navigation bar 숨기기
첫번째 Scene에서는 Navigation bar가 없지만, 그 외 Scene에서는 Navigation bar가 활성화 된다.
기본 셋팅은 위와 같은데, 이 설정으로는 첫번째 Scene에서만 Navigation Bar가 숨겨진다.
public void Init()
{
Screen.fullScreen = true;
}
SceneManager에서 모든 Scene에서 위 코드를 실행했다.
해결 완료!
회고
오늘은 드디어 길고 긴 프로젝트 개발을 끝내고 1차 구글 플레이 업로드를 했다. 현재 검토 중으로 1주일 정도 뒤, 올라갈 예정이다. 전체적인 개발 기간을 한달로 잡았지만, 멀티 플레이를 처음 구현하다보니 생각보다 많은 공부가 필요했고, 많은 오류를 수정하다보니 거의 두달정도 걸렸다. 하지만 멀티 플레이를 구현하면서 PUN2와 뒤끝 서버에 대해서 많은 공부를 해서 멀티 플레이에 대해서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었다. 아직 부족한 부분은 많지만 추후, 경과를 보고 프로젝트를 업데이트 하도록 하겠다.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역시나 PUN2와 뒤끝 서버를 통해 멀티를 구현하는 부분 이었고, GPGS 연동을 시도했다가 구글 애드몹 Plugin과 충돌해서 빌드가 되지 않는 오류 부분이었다. 결국 GPGS 기능은 삭제하고 모든 오류를 해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하지만, 모든 내용은 블로그에 잘 정리를 했기 때문에 다음 프로젝트부터는 조금더 쉽게 멀티 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 같다.
'1인 개발 > Push And Sla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쉬앤슬래시 개인 프로젝트 35일차 (0) | 2024.07.09 |
---|---|
푸쉬앤슬래시 개인 프로젝트 34일차 (0) | 2024.07.06 |
푸쉬앤슬래시 개인 프로젝트 33일차 (0) | 2024.07.04 |
푸쉬앤슬래시 개인 프로젝트 32일차 (0) | 2024.06.27 |
푸쉬앤슬래시 개인 프로젝트 31일차 (0) | 2024.06.26 |